‘Mr & Mrs’ by Suwon Lee: Black Snow and Thick Blood in Memory. Review of photo book in El País
- Suwon Lee
- 29 mar
- 5 Min. de lectura
March 29, 2025
By Carmen Guri
The Venezuelan-Korean artist distills into poetic essence decades of photographs of her grandparents, found after their passing in the family home in Seoul.
(Scroll down for the Korean translation)
The home of Mr. and Mrs. Lee in Seoul concealed a hidden treasure. Years after their passing, their granddaughter Suwon returned to the house where she had once lived with them during her university years. Among their belongings, she made a discovery. Forgotten in a corner, the legacy of her ancestors lay waiting: over 1,000 family photographs that her grandmother had carefully kept in albums over the decades, yet which Suwon had never seen before. The discovery captivated her. She immediately understood the immense value of preserving such an extensive visual memory of a single family.
Suwon Lee is a Venezuelan-Korean visual artist whose photographic work often carries an autobiographical tone. From the self-portrait series that launched her career in 2004 to the landscapes in her Crepuscular series—three of which have belonged to MoMA’s permanent collection in New York since 2018—her focus has remained personal and intimate. “I’m interested in photographing my experience. One thing is what you see, and another is what you imagine or think. That’s where the creative, artistic part of my work begins,” she explains.
After closely examining the albums, she felt as though she were holding the script of a film—a visual narrative of her ancestors’ lives through photographs filled with unfamiliar faces that nonetheless formed part of her own story and of Korea’s history since the 1930s. “My paternal great-grandfather began documenting the family at a time when photography was still a luxury for most people,” Lee recalls.
In 2018, she undertook an artist residency at the Vermont Studio Center, where she began shaping the project that culminated at the end of 2024 in the photobook Mr & Mrs, co-published by RM (Barcelona) and Goma Editora (Buenos Aires).
The book has two possible beginnings. It can be read from either end: one side features full-page close-ups of Mrs. Lee, arranged chronologically from the earliest to the latest. On the other side, in reverse order, are portraits of Mr. Lee, using the same format and temporal sequence. The two timelines—composed of 183 portraits selected from the family archive—only converge at the central double-page spread, which features an image from their wedding.
To document and organize the photographs, Suwon chose to photograph each one individually instead of scanning them. This process became a kind of time travel. “As I focused on each face, it felt as though I were there, in that moment, taking the photo myself.” A profoundly haunting and moving sensation, she says.
There is also an earlier artist’s book version of Mr & Mrs, without text and bound in a leporello, or accordion style, designed to be exhibited. When unfolded, it stretches to 16 meters and is printed on kozo paper—a Japanese mulberry-based paper—that allowed for the portrait-by-portrait folding.
In both versions, the creative process was rooted in a minimalist desire to synthesize visual and documentary information. “Even though it tells the story of two specific people in a specific time in Korea, I wanted to create a universal book—one that anyone could see themselves in,” Lee explains.
With this in mind, designer Jaime Narváez opted for a small, intimate format: 11.5 × 16.5 cm, turning Mr & Mrs into a personal object. Horacio Fernández followed that same path of synthesis, writing poetic fragments that distill the real story to its emotional core. Evocative phrases such as “I swallowed black snow” echo through Mrs. Lee’s memory, while “thick blood” lingers in Mr. Lee’s. One phrase accompanies each portrait, and through their reading, the life of this couple begins to emerge—a story that, beyond the Lees, could just as easily belong to anyone.
The albums containing the legacy of Mr. and Mrs. Lee remain stacked in the same corner where their granddaughter first found them. Her parents are now the guardians of that once-forgotten treasure. “No matter what happens, family is family,” her grandfather used to say. Blood is thicker than water.
엘 파이스 / 바벨리아 (토요판 부록) / 문학 평론
2025년 3월 29일 | 글: 카르멘 구리
이수원 (Suwon Lee)의 『Mr & Mrs』: 기억 속 검은 눈과 진한 피
베네수엘라계 한국인 아티스트 이수원은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수십 년에 걸쳐 남긴 사진들을 시적 본질로 정제해냈다. 이 사진들은 서울의 가족 집에서 그들의 사망 이후 우연히 발견되었다.
서울에 있던 이씨 부부의 집에는 숨겨진 보물이 있었다. 그들이 세상을 떠난 지 몇 달 후, 대학 시절 할머니와 할아버지와 함께살았던 그 집으로 손녀 수원이 돌아왔다. 그리고 그들의 물건들 속에서 그것을 발견했다. 한쪽 구석에 잊힌 채 놓여 있던 조상의 유산—할머니가 오랜 세월 동안 정성스럽게 앨범에 모아둔 가족 사진 1,000장이 넘는 이미지들—수원은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었다. 그녀는 이 발견에 완전히 매료되었고, 한 가족의 시각적 기억을 이토록 풍부하게 간직하는 것이 얼마나 귀한 일인지 직감했다.
이수원은 자전적 요소가 짙은 사진 프로젝트로 잘 알려진 베네수엘라계 한국인 비주얼 아티스트다. 2004년 자화상 시리즈로경력을 시작한 그녀는 이후 Crepuscular 시리즈의 풍경 사진으로도 주목받았다. 이 중 세 점은 2018년부터 뉴욕 현대미술관(MoMA) 영구 소장품으로 보관되어 있다. “나는 내 경험을 사진으로 기록하는 데 관심이 있어요. 눈으로 보는 것과 상상하거나 생각하는 것은 다르죠. 바로 그 지점에서 내 작업의 창의성과 예술성이 시작돼요,”라고 그녀는 말한다.
그녀는 그 가족 앨범들을 차근차근 넘기며, 마치 한 편의 영화 대본을 손에 쥔 듯한 기분이 들었다. 그녀가 알지 못하는 얼굴들로 가득한 사진들이었지만, 그것들은 분명 그녀 삶의 일부이자 1930년대 이후 한국 현대사의 한 조각이기도 했다. “내 증조할아버지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사진이 사치였던 시절부터 가족을 기록하기 시작하셨어요,”라고 수원은 회상한다.
2018년, 그녀는 미국 버몬트 스튜디오 센터에서 아티스트 레지던시에 참여했고, 이곳에서 『Mr & Mrs』라는 프로젝트의 뼈대를 만들기 시작했다. 이 작업은 결국 2024년 말, 바르셀로나의 RM과 부에노스아이레스의 Goma Editora가 공동 출판한 포토북으로 결실을 맺게 된다.
이 책은 두 가지 시작점을 갖는다. 앞에서 읽어도, 뒤에서 읽어도 된다. 한쪽에는 이씨 부인의 클로즈업 초상들이 가장 오래된것부터 최근 것까지 전면 페이지에 인쇄되어 있다. 반대쪽에는 같은 방식으로 이씨 부인의 남편의 초상이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가족 사진에서 선별된 183장의 초상은, 오직 책의 정중앙 양면에 배치된 결혼식 사진에서만 만난다.
사진들을 정리하고 아카이빙하는 과정에서, 수원은 스캔 대신 하나하나 직접 다시 촬영하기로 했다. 이 과정은 마치 시간의 터널로 빨려 들어가는 경험이었다. “얼굴 하나하나에 초점을 맞출 때마다, 내가 마치 그 현장에 직접 가서 사진을 찍는 듯한 기분이 들었어요.” 그녀는 그것이 “매우 감정적이고 잊히지 않는 경험”이었다고 말한다.
이 포토북의 첫 번째 버전은 텍스트 없이 제작된 아티스트 북 형태다. 레포렐로(leporello) 또는 아코디언 방식으로 제본되어전시용으로 기획되었다. 펼치면 길이 16미터에 달하며, 일본의 뽕나무로 만든 전통 종이인 코조(kozo) 용지에 인쇄되어 초상하나하나를 개별적으로 접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두 버전 모두에서 창작 과정은 시각적, 문서적 정보를 최소화해 본질을 추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 책은 특정한 시기의 한국, 두 사람의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나는 누구나 자신을 비춰볼 수 있는 보편적인 책을 만들고 싶었어요,”라고 수원은 설명한다.
이러한 의도 아래 디자이너 하이메 나르바에스(Jaime Narváez)는 11.5 × 16.5cm의 작고 손에 쥐기 쉬운 포맷을 택했다.『Mr & Mrs』는 그렇게 매우 개인적이고 친밀한 오브제로 탄생했다. 이어지는 흐름 속에서 호라시오 페르난데스(Horacio Fernández)는 실제 이야기를 가장 시적인 핵심으로 압축한 텍스트를 써내려간다. “나는 검은 눈을 삼켰다”라는 구절은 이씨부인의 기억 속에 울려 퍼지고, “진한 피”는 남편의 기억 속으로 흘러든다. 초상 하나하나에 한 문장씩 배치된 이 텍스트들을따라가다 보면, 독자는 그 부부의 삶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고, 그 이야기는 이씨 부부의 것이자,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삶의 조각이기도 하다.
지금도 그 가족 앨범들은 수원이 처음 발견했던 바로 그 구석에 쌓여 있다. 그녀의 부모님이 이제 그 보물의 새로운 수호자다.“무슨 일이 있든, 가족은 가족이야,” 할아버지는 늘 그렇게 말씀하셨다. 피는 물보다 진하니까.
Mr & Mrs
이수원
RM & Goma Editora, 2024년 출간
스페인어 및 영어판
376쪽 | 35유로
Comments